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얼마 전 강원도 화천에서 열린 낚시 축제에 153만 명이 몰릴 정도로 겨울 낚시, 많이들 즐기시죠. <br> <br>그런데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딱 지금 쯤, 얼음이 깨져 물에 빠지는 사고가 많습니다. <br><br>얼마나 위험천만한지 직접 보여드립니다.<br><br>현장카메라, 강보인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얼음 위에서 낚시, 썰매를 즐기다 얼음물에 빠지는 사고가 매년 반복되고 있습니다. <br><br>기온이 올라 얼음이 녹기 시작하는 요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데요. <br><br>위급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아봤습니다. <br><br>지난 월요일 얼음낚시에 나선 60대 남녀가 얼음이 깨지면서 물에 빠져 소방대원이 구조에 나섰습니다. <br><br>사고 난 하천 곳곳엔 얼음낚시를 위해 뚫어 놓은 구멍이 셀 수 없습니다. <br><br>[얼음 낚시객] <br>"그전에는 많이 빠졌지. 주말에 여기 차 댈 데 없어요. (얼음낚시 하려면) 새벽에 와야 돼" <br> <br>3일 전 사고 난 하천인데요. <br><br>기온이 상승하면서 곳곳에서 얼음이 녹아내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돌을 던지자 두꺼워 보였던 얼음이 그대로 깨집니다. <br> <br>지난 2022년까지 3년간 겨울철 얼음 깨짐 사고는 137건 9명이 사망하고 5명이 다쳤습니다. <br><br>영하 9도의 매서운 날씨 속에 꽁꽁 언 20cm 얼음을 전기톱으로 잘라냅니다. <br><br>[현장음] <br>"당겨! 당겨!" <br> <br>[김경호 / 소방청 동계수난구조 전문교육훈련 교관] <br>"지금 상황에서는 얼음 두께가 어느 정도 있고 그래서…저희가 잠수를 해서 의심 구역을 수색하기 위해서 자르는 겁니다 " <br> <br>해빙기가 시작되면서 소방대원들의 수난사고 대비 훈련이 한창입니다. <br><br>수심 5미터까지 잠수해 반경 40미터 구역을 실전처럼 수색합니다. <br><br>[현장음] <br>"가자!" <br> <br>[이동철 / 서울 소방학교 소방장] <br>"펄도 올라오고 하면 시야가 잘 안 보이는 편이어서 방향 유지해서 돌아오는 데 조금 어려운 점이 있었습니다…좀 많이 추운 것 같아요" <br> <br>실내에선 장애물을 설치하고 플래시 불빛에 의존한 야간 수중 수색훈련을 진행합니다. <br><br>[김한기 / 서울 관악소방서 소방사] <br>"(장애물 설치로) 생각보다 지나가는 길목이 너무 좁고. 그리고 동계 훈련이다 보니까 풀장 자체가 굉장히 지금 춥습니다" <br> <br>해빙기, 얼음 두께가 5cm 이하가 될 때부터는 깨질 위험이 높은데요. <br><br>얼음이 깨져 물에 빠졌을 때 상황을 재현해 보겠습니다. <br><br>[현장음]<br>아 너무 차가운데요 <br> <br>생각보다 낮은 수온에 당황할 수밖에 없었습니다. <br><br>[왕등호 / 소방청 동계수난구조 전문교육훈련 교관] <br>"혼자 빠졌을 경우에는 얼음이 깨지기 시작하면 계속 깨지거든요. 최대한 자세를 넓게 한(엎드린 자세) 상태에서 빠져나가야 돼요. 시간이 지나다 보면 저체온증이 오니까 위험에 처할 수 있어요. <br> <br>물 밖으로 나오더라도 젖은 옷을 갈아입는 등 체온 유지가 중요합니다. <br><br>수온이 5도일 경우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골든타임은 1시간, 날씨와 위치에 따라 얼음 상태는 제각각 달라, 해빙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, 강보인입니다. <br> <br>PD : 윤순용 <br>영상취재 : 김래범 <br>AD : 김승규<br /><br /><br />강보인 기자 riverview@ichannela.com